자동차 사고 이후 보험료 인상되는 4가지 기준 – 할인할증등급 조회하기

자동차 사고 이후 보험료 인상되는 4가지 기준 – 할인할증등급 조회하기

이번 시간에는 자동차 사고 이후에 발생할 수 있는 보험료 인상되는 4가지 기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할인 할증 기준에 대해서 알아보자.

자동차 사고 이후 보험료 인상되는 4가지 기준 - 할인할증등급 조회하기

기본적으로 자동차 사고는 과실비율과 대인, 대물 등 자동차 사고 후 보험료 인상 기준이 있다.
다만 이러한 할증률은 보험사마다 각각 다르게 측정되기 때문에 금액이 개인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을 가안하고 이번 글을 확인해 보도록 하자.

보험료 할증은?

사고가 발생한 후 보험료가 인상되는 것을 할증이라 한다. 물론 이러한 것은 사고 이후 모두 자신의 자비로 수리와 보상을 지불한다면 보험료는 인상되지 않는다.

따라서 수습해야 하는 금액이 낮을수록 자비로 해결하는 편이 좋은데, 할증은 장기적으로 보았을 경우 원래대로 돌아오기까지 3년이란 긴 시간이 필요하다.

자동차보험 할인할증은 등급별로 나누어져서 관리가 된다. 등급은 총 1Z ~ 29P까지 있으며 해당 등급에 따른 할증요율은 다음과 같다.

1Z와 가까울수록 보험료는 비싸지며 첫 시작은 11N부터 시작한다. 사고가 발생하면 과실비율, 상해 정도에 따라 보험료가 증가된다. 반면에 1년간 사고가 없었다면 1등급이 올라가며 할인을 받을 수 있게 된다.

할인할증등급 조회하기.

내 자동차보험 할인할증등급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아래쪽 링크를 통해서 가능하다.

자동차보험 할증 조회 사이트 바로가기

위와 같이 확인이 가능하며 실제 사고가 없는 경우에는 보험료를 할인하고 사고가 있는 경우에는 보험료 할증이 진행되기 때문에 다음연도 갱신 때 보험료 할증 및 할인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자동차 사고 후 보험료 인상되는 기준은?

자동차 사고가 발생되고 보험료가 인상되는 기준에 대해서 알아보자.
사고를 내가 낸 것이 아닌데도 불구하고 보험료가 인상된다면 억울하고 속상한 일이 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무엇 때문에 보험료가 오르는지 확인해야 할 이유가 있다.

대물 사고로 인하여 보험료 인상.

가장 흔한 보험료 인상 기준은 바로 대물 사고로 인하여 발생하는 보험료 인상이다. 사고 과실 여부를 떠나서 내 보험료에서 설정한 물적사고 할증 금액보다 많은 보험료를 받은 경우 보험료 할증이 이루어지게 된다.

물적사고 할증 금액은 내가 자동차보험에 가입할 때 설정한 금액으로 일반적으로는 200만 원 정도이며 최소는 50만 원으로 설정도 가능하다. 이때 설정한 금액보다 높은 수리비가 나오는 경우 할증이 되게 된다.

다만 높은 금액으로 설정하다 보면 보험료 또는 자기부담금이 높아지게 된다. 다만 길게 봤을 경우 자동차보험 할증을 피할 수 있기 때문에 되도록이면 높은 금액을 설정하길 추천한다.

만약 사고로 인하여 수리비가 내가 설정한 금액보다 높게 나온 경우라면 보험료 할증으로 이어지게 된다.

대인사고 인한 보험료 인상.

대인사고의 경우 사람을 다치게 한 경우 그 상해 정도에 따라 보험료 할증이 이루어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포함되는 상해등급은 12급 ~ 14급이다.

상해등급보험료 할증
사망 ~ 1급4점
2급 ~ 7급3점
8급 ~ 12급2점
13급 ~ 14급1점

갑자기 발생된 사고로 인하여 목이나 허리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굳어서 움직여 지지 않는 것을 염좌라고 하는데 이러한 경우 12급에 해당되게 되면 이 경우에는 2등급이 올라가게 된다.

상해급수표는 아래쪽 링크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상해급수표 확인하기

사고 건수로 인한 보험료 인상.

자동차보험 할인할증률은 직접적인 피해 정도가 중요하다 다만 사고 건수에 따른 특성 요율의 경우 사고를 몇 년간 몇 번 발생했는지에 따른 보험료 할증에 대한 요율이다.

그렇기 때문에 할증되지 않은 사고라고 해도 사고 건수가 쌓이는 경우 할증이 되는데 이러한 경우를 0.5점 사고라고 하며, 이러한 0.5점 사고는 쌓이게 된다면 1점이 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사고 건수는 3년 기준, 1년 기준으로 측정하게 된다. 3년에 3건 이상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보험료가 올라가며, 1년에 2건 이상일 경우 보험료가 상승하게 된다.

사고건수할인할증
직전 1년간 무사고면서
직전 3년간 사고 1건 이하
할인
직전 1년간 사고 1건7% 할증
직전 1년간 사고 2건 이상15~60% 할증
직전 3년간 사고 3건 이상7~60% 할증

내 과실이 없는 사고 보험료 인상.

내 과실이 없는데 보험료가 인상되는 경우가 있다. 가장 흔한 경우로 자기차량손해 특약으로 받는 금액이 물적사고 할증 금액을 초과하는 경우이다.

예를 들면 기록적인 폭우를 기록하는 경우 차량이 물에 잠김 경우가 이에 해당하는데 자차 단독사고로 인하여 수리비가 200만 원 이상 나왔다면 보험료 할증 1점을 받게 된다.

참고로 폭우나 우박 등 자연재해등으로 인하여 피해를 보상받기 위해서는 자기차량손해 특약 중에서도 단독사고피해보상 내용이 들어가야만 한다. 그래야지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에 보상을 받을 수 있다.

그다음 내 과실이 없어도 보험료가 할증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1. 가해자 불명 자기차량손해사고로 물적사고 할증금액을 초과하는 경우 (1점)
  2. 평가대상 기간 중 자기차량손해사고가 2건 이상인 경우 (2점)
  3. 과거 3년간 본인 과실이 있는 사고와 합쳐 사고 건수가 2건 이상인 경우 (1점)

과실 50% 미만 사고

내 과실이 50% 미만으로 피해자 신분인 사고는 할증 부분에 관대하게 적용이 된다. 사고 건수에 따른 특성 요율에서 1건으로 기록되는 것이 아닌, 0 건으로 기록이 된다.

다만 무사고 운전자와의 차별점을 두기 위해서 3년간 할인을 받을 수 없는 상태가 되는데 다시 말해서 할증등급유예가 적용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내 과실이 아무리 적어도 할인을 받을 수 없기 때문에 손해라고 볼 수 있다.

이유 없이 보험료 할증이 되는 경우

위 사항에 해당이 되지 않는데 자동차보험료가 할증되는 경우가 있다. 보험료는 복합적인 원인으로 인하여 할증되기 때문에 개인적으로는 원인을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보험사에 연락을 해서 확인하는 방법이 있지만, 그전에 대략적으로 파악해 볼 수 있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1. 과거 2년 간 교통법규를 위반한 경우
  2. 무면허, 음주, 뺑소니 등을 행한 경우
  3. 신호위반, 속도위반, 중앙선침범 등을 행한 경우
  4. 어린이, 노인 및 장애인 보호구역에서 속도 위반 시
  5. 물적사고 할증금액을 초과하지 않는 사고가 2건 이상일 때 (0.5점 사고)

위 정보보다 더 궁금한 것이 있다면 삼성화재에서 알려주는 할인할증 정보 안내 페이지에 대해서 알아보고 확인해 보길 바란다.

삼성화재 할인할증 안내

할증 1점 얼마나 인상될까?

자동차보험료가 1점이 할증된다면 보험료는 약 7% 상승하게 된다. 이런것은 보험회사별로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상단 보험사별 할인할증 비율을 확인하는 것을 추천한다.

다만 실제 보험료는 7%보다 더 높은 15% 이상 오를 수 있다. 그러한 원인은 그동안 내가 모르는 할인이 없어지기 때문인데 사고 건수에 따른 특성 요율이나 무사고 할인 등이 사라지기 때문에 더 높은 금액이 할증되는 것처럼 느껴질 수 있다.

자동차보험료 할증을 막을 수 있는 환입제도

자동차보험 환입 제도는 보험사로부터 적절한 보상을 받은 뒤 해당 금액을 보험사에 다시 환입하는 방법으로 할증을 막는 방법이다.

예를들어서 자차 수리 비용이 200만 원 이상이 나오게 된 경우 할증이 확정되지만, 보험료 할증은 다음 갱신 때까지 기간이 유예되기 때문에 여유자금이 생긴다면 보험료를 환입하는 것을 추천한다.

환입 제도의 장점은?

다만 환입을 한다는 것은 사고를 내 돈으로 처리하는 것이기 때문에 조금은 생각을 하게 된다. 처음부터 보험 보상을 받지 않았면 되지 않았을까 싶겠지만 상대방이 비협조적이거나 치료비, 수리비 등 다양한 면에서 직접 관리하는 것보다 보험사의 힘을 빌리는 것이 조금 더 편리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여유자금이 생겼다면 다음 갱신 전까지 보험사로 문의하여 일부 환입 혹은 전액 환입을 통하여 할증을 피할 수 있다.

글을 마치며

이번 시간에는 자동차 사고 후 보험료 인상 기준과 금액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았다. 이번 글을 통하여 조금이라도 도움이 될 수 있었으면 한다.

다른 볼만한 이야기.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