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보험 할인할증등급 알아보기, 조회 및 할증 기준
자동차보험 할인할증등급 과 할증기준 그리고 내 할인할증등급 조회 방법까지 알아보도록 하자.
사고가 발생하면 할증된 보험료를 납입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할증 기준에 따라 보험료가 얼마나 어떻게 변하는지 할증 계산기를 통하여 함께 알아보자.

자동차보험 할인할증등급은?
할인할증등급은 자동차보험에 가입한 사람의 사고 유무에 따라서 1년 단위로 보험료 할인 또는 할증을 적용하는 기준을 말한다. 다시 말해서 신용을 평가할 때 사용되는 신용등급과도 유사하다고 생각하면 된다.
할인할증등급은 총 1Z부터 29P 등급까지 존재한다 1년 기준으로 변동되는데, 추가로 각 등급에 따라 보험요율이 변화하며 이에 따라서 보험료가 오르락내리락 하게 된다.

자동차보험에 처음 가입하게 되면 11N 등급이 된다. 11N 등급에서 1년간 사고가 없다면 12Z 등급으로 올라가고 반면에 할증되는 사고가 있다면 11Z로 떨어지게 된다.
1점 할증 시 얼마나 가격이 오를까?
할인할증등급이 1등급 하락하게 되면 일반적으로 4~10%로 사이로 떨어진다고 보면 된다. 각 보험사별 할인할증 적용률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등급에 따라 퍼센트가 다르게 방영되니 자세한 건 자신의 보험사에 확인하는 것이 가장 정확하다.
보험사별 할인할증 적용률 조회 어떻게 하지?
할인할증 적용률은 각 등급에 따라 보험요율을 별도로 적요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보자면 A보험사의 경우 10Z 등급이 77% 요율인 반면, B보험사는 89%로 크게 차이를 보이기도 한다.
아래와 같이 보험사별 개인용 및 업무용 그리고 이륜차 등의 할인할증 적용률을 조회해 볼 수 있다.

- 손해보험협회 공시실 접속
- 자동차보험공시 > 자동차보험료 할인할증 적용률
- 내 보험사 할인할증 적용률 확인
1. 손해보험협회 공시실 접속하기.
검색 사이트에서 손해보험협회 공시실을 검색 또는 아래쪽 링크를 통하여 바로 갈 수 있다.
2. 자동차보험 공시 ▶ 자동차보험료 할인할증 적용률 클릭.
상단 메뉴에서 자동차보험 공시를 선택 그 뒤 자동차보험료 할인할증 적용률 현황을 눌러 그다음 페이지로 이동한다.

3. 내 보험사 할인할증 적용률 확인하기
각 보험사에 맞춰서 가장 상단에 위치한 개인용 할인할증 적용률 현황을 확인해 보자. 그다음 변화하는 할증등급에 따라서 얼마나 할인, 할증이 될지 대략적으로 확인이 가능하다.
자동차보험 할인할증등급 조회하기.
현재 내 자동차보험 할인할증등급을 모라고 있다면 보험개발원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으며, 아래쪽 순서를 통하여 확인해 보도록 하자.
- 자동차보험 종합포털 > 할인할증 요인 조회 클릭
- 본인인증
- 할인할증등급 내역 확인
1. 자동차보험 종합포털 접속

자동차보험 종합포털 사이트를 접속하여 할인할증 요인 조회를 선택하자.
아래쪽 링크를 통하여 바로 이동이 가능하다.
2. 본인인증

공인인증서 휴대폰 인증 등을 통하여 본인인증을 진행하도록 하자.
3. 할인할증등급 요인 조회하기.
할인할증등급 요인을 조회 결과에서 왼쪽은 지난 갱신 혹은 현재 등급이다. 반면에 오른쪽은 다음 갱신 때 받을 등급을 의미한다.

갱신 후 예상되는 할인할증등급 조회는 자동차보험 갱신 3개월 전부터 조회가 가능하며, 갱신 보험료 정보가 정확하지 않을 수 있으니 이 점은 보험사에 직접 문의해 보도록 하자.
자동차보험 할증 기준은?
만약 어떤 이유도 모른 채 보험료가 할증되면 어떤 이유인지 알아볼 때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아래 할증 기준들을 하나씩 점검해 보길 바란다.
- 사고건수 할증
- 대인사고 할증
- 대물사고 할증
- 자기신체사고 할증
- 자차사고 할증
- 교통법규 위반 할증
사고건수 할증
사고가 발생하는 건수에 따라서 보험료 할증이 적용되고 사고건수요율이 나타난다. 이는 3년 혹은 1년간 발생한 사고건수를 기준으로 적용된다. 나의 과실이 50% 미만인 경우에는 사고건수 1건이 쌓이지 않게 된다.
사고건수로 인하여 할증은 할인할증등급에 영향이 없으며 별도로 보험료가 오르게 된다. 3건 이상 사고가 있거나 1년간 1건 이상의 사고가 있는 경우 7~60%까지 할증이 적용된다.
자세한 내용은 손해보험협회 사례를 확인해 보길 바란다.
대인사고 할증
대인사고 할증은 사람이 다치거나 사망하는 경우 다친 사람의 상해등급에 따라 보험료 할증이 적용된다. 이때는 아주 작은 치료라고 하더라도 무조건 1점이 할증되니 주의할 필요가 있다.
여기에 관련한 내용으로 자기신체사고 및 자동차상해특약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무조건 1점이 할증되기 때문에 자신의 과실이 높다면 신중하게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대물사고 할증
대물사고 할증은 사고 후 보상해 줘야 하는 차량이나 시설물 등의 피해 금액에 따라 결정된다. 다시 말하여 물적사고 할증 기준액을 200만 원으로 설정한 경우, 200만 원보다 더 낮은 금액은 할증을 피할 수 있으며 이보다 높게 되면 할증이 적용된다.
교통법규 위반 할증
교통법규 위반 시 할증되는 보험료는 할인할증등급과 별개로 보험료 상승이 있다.
여기서 참고해야 할 것은 자동차보험료 할증은 한번 받으면 3년간 할인이 유예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사고 후 3년 동안 할증된 금액을 유지해야 하며 3년간 무사고를 유지해도 할인은 1%도 받을 수 없다는 점이다. 따라서 보험처리를 받을 때는 신중히 받는 것이 좋다.
자동차보험 할인할증등급 장기 경력 단절
자동차보험을 3년 이상 가입하지 않았다면 할인할증에 일부 변화가 있다. 경력 단절 후 재가입 시 적용되는 할증등급 기준을 보자면 다음과 같다.
전계약등급 적용률 | 재가입등급 적용률(B) |
1~8 (200~105%) | 8 (105%) |
9 (96.1%) | 9 (96.1%) |
10 (87.8) | 10 (87.8) |
11~14 (82.8 ~ 62.7) | 11 (82.8%) |
15~29 (58.5 ~ 30%) | 12~26 (전계약등급 – 3등급) (71.2% ~ 34.7%) |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경력단절 저위험 우량 가입자에 속하는 경우 15~29등급의 사람들은 3등급만 할증된 채 재가입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25Z 등급이던 사람이 경력 단절 후 재가입 시 22Z 등급으로 가입할 수 있다는 것이다.
반면에 무사고 기간이 상대적으로 짧은 12 ~ 14등급의 경우 11등급으로 시작되며, 등급이 낮은 1~8등급의 사람들의 경력 단절 후 재가입의 경우 8등급으로 통일하여 시작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내용은 금융위원회 보도자료를 통하여 조금 더 자세하게 확인할 수 있다.
자동차보험 할인할증등급 FAQ
자동차보험 할인할증등급 1점당 얼마나 오를까?
할인할증등급 1점이 오르게 되면 일반적으로 4~10% 할인 또는 할증이 진행되게 된다. 다만 할인할증등급이 오르지 않더라도 사고 건수나 교통법규 위반 등으로 인하여 보험료가 오르게 되는 경우도 있으니 종합적으로 확인해 보길 바란다.
내 할인할증등급 어디서 조회할 수 있을까?
나의 할인할증등급을 조회하는 곳은 보험개발원에서 운영하는 할인할증 요인 조회 페이지를 통하여 쉽게 확인해 볼 수 있다.
만약 다음 갱신 등급이 궁금한 경우에는 최소 만기일 3개월 전부터 조회가 가능하니 참고하길 바란다.
마무리.
이번 시간에는 자동차보험 할인 할증 등급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았다. 등급을 올릴수록 높아지는 할인률 때문에 같은 차종 같은 보험이라도 차이가 난다. 무사고를 유지하여서 높은 등급으로 천천히 이동하길 바란다.
다른 볼만한 이야기.

